- All 리츠는 약 0.42% 상승, All Equity 리츠는 약 0.37% 상승으로 미국 리츠 시장의 랠리는 계속되었다. 이는 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최근 실적 시즌에 의햔 영향이다.
- 상승랠래의 가장 큰 수혜자는 코로나19 및 경기에 가장 민감한 Regional Mall, 모기지 리츠(커머셜 파이낸싱, 홈파이낸싱) 그리고 팀버 리츠 및 리테일 등이다
- 반면 어제 발표되었던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의 감소와 약간은 상반되는 혼선된 고용지표가 발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랠리는 계속되었다
- 전체적으로 데이터센터 리츠와 셀타워 등 인프라스트럭쳐 리츠는 큰 상승세를 보이지는 못했다. 아메리칸타워(AMT), SBA커뮤니케이션(SBAC), 크라운캐슬(CCI) 등의 셀타워 리츠는 혼조세를 보였다.
- 에퀴닉스(EQIX), 디지털 리얼티(DLR) 등의 데이터센터 리츠는 양호한 수준의 상승을 보였다
- 물류센터 리츠의 경우 프롤로지스(PLD), 듀크리얼티(DRE) 등을 대형 물류 리츠를 필두로, 렉싱턴 리얼티(LXP), 아메리콜드리얼티(COLD) 등의 중소형 물류 리츠 등이 높은 상승세를 주도하였다.
- 특히 아메리콜드(COLD)와 같은 콜드 체인 물류창고(저온물류창고) 업체와 같은 리츠는 앞으로 신선식품 시대 글로벌 개막에 따라 주목해볼만하다고 느낀다. 다만 Trailing 12 months 기준 P/FFO는 약 31.21x로 평균 리츠 17x, 프롤로지스(PDL) 24x 수준에 비해서도 약간은 높은 가격대라는 것은 염두어해두어야할 듯하다
리테일 리츠의 폭락과 게임스탑(GME)의 숏스퀴즈와 실적 시즌의 영향
일전에 본 블로그에서 게임스탑(GME) 이슈에 의한 숏스퀴즈(Short Squeeze)와 공매도 비율이 높은 리츠들의 급상승과의 상관관계를 다뤘었다. 공매도와 Short-Squeeze, 그리고 사이먼프로퍼티(SPG), 아이
dbs0415.tistory.com
- 현재 미국 리츠 상승장의 랠리의 주역이 되고 있는 리테일 리츠는 Regional Mall 및 쇼핑몰 리츠를 필두로 대거 상승하고 있다. 다만 이는 지난 게임스탑(GME) 숏스퀴즈 사태(위 링크 참고)에 따라 폭락했던 탠저 팩토리(SKT), 워싱턴프라임(WPG) 등의 일시적 기술적 반등에 의한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심할 필요 있다고 본다.
* 본 작성글은 주식 투자 참고를 위한 단순 소개 글입니다. 참고로만 사용하시길 부탁 드립니다.
'미국 리츠 > 미국 리츠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리츠 시장(2021.02.09) - 사이먼프로퍼티(SPG)의 부활? (0) | 2021.02.10 |
---|---|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8) - 파워리츠(PW)는 대마초 관련 리츠? (0) | 2021.02.09 |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5) - 미국 신규실업수당 감소에 따른 장 전반적인 상승 (0) | 2021.02.05 |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3) - 웨이어하우저(Weyerhaeuser Company) 경기상승의 신호? (0) | 2021.02.04 |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2) - SL그린(SLG), 보나도 리얼티(VNO)의 하락?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