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36

미국 리츠 시장(2021.02.10) - 사이먼프로퍼티(SPG), 워싱턴프라임(WPG) 상승세

- 나스닥, 다우 양시장 보합인 반면 All 리츠, All Equity 리츠 모두 강한 상승세. 실적 발표 기대감에 계속해서 랠리 지속 중임 - 특히 경기 부양 민감주인 쇼핑몰(지역몰) 리츠, 호텔, 헬스케어, 리테일, 모기지 등 모두 높은 상승세를 보임. 사이먼프로퍼티(SPG)는 전일 실적 발표에서의 긍정적인 가이드라인 제시 이후 계속해서 상승 중. 워싱턴프라임그룹(WPG)는 경기 상승주 상승에 따라 급상승하는 것으로 보이나 기술적인 이슈가 더 큰 것으로 보여짐 - 반면에 인프라 등의 경기 방어 리츠들은 약보함 상태 중인데, 아메리칸 타워(AMT), 크라운캐슬(CCI), SBA커뮤니케이션(SBAC) 등 상승 없이 마감 - 아메리칸타워(AMT), 크라운캐슬(CCI), SBA커뮤니케이션(SBAC) 실질적으..

미국 모기지 리츠: 뉴레지덴셜 인베스트먼트(NRZ)는 모기지 서비서? 고배당리츠 NRZ

고배당 뉴레지덴셜(NRZ) 오늘은 미국 모기지리츠 중 고배당리츠 중 하나인 뉴레지덴셜 인베스트먼트(NRZ)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뉴레지덴셜 리츠(NRZ)의 시총은 대략 $4bn 수준이며 현재 시가배당률은 약 8% 수준이다. 최근 모기지 리츠 전체 섹터의 급상승으로 시가배당률이 낮은 수준으로 내려왔다. P/B는 0.92 수준으로 현재 순자산가치(Net Book Value)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뉴레지덴셜 인베스트먼트(NRZ)는 모기지 리츠(mREITs) 중에서도 Home Financing 즉 RMBS 쪽에 가까운 모기지 리츠인데, 그 중에서 현재 시총 3위 수준에 위치한 큰 규모의 리츠라고 할 수 있다. 지난 번에 다뤘던 AGNC인베스트먼트(AGNC)의 바로 아래 단계라고 할 수 있다. ..

알렉산드리아(ARE) 아편 치료 위한 시설 개발, 사업 확장하나?

- 알렉산드리아(ARE)는 오피스 리츠 섹터 내 시총 1위 규모의 바이오클러스터, 테크 등에 대한 공간을 개발, 소유, 운영하는 리츠임 - 금번 아편 치료를 위한 커뮤니티(레지덴셜) 개발을 통해서 알렉산드리아는 기존과 다른 사업 진행, 이는 새로운 사업 확장의 가능성? - 기존 글로벌 제약회사와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확장 가능성 굉장히 높다고 보여짐 알렉산드리아는 파트너쉽을 통해 아편중독 치료를 위한 통합 레지덴셜 빌딩 OneFifteen Living 개발을 진행하였다. 약 3층의 26,000 sqft 가량의 레지덴셜 빌딩으로 이 곳에서 아편중독자들은 치료 및 재활을 전념한다. 알렉산드리아는 현재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다양한 제약사들에게 100개가 넘는 바이오클러스터, 실험실, 연..

미국 리츠 시장(2021.02.09) - 사이먼프로퍼티(SPG)의 부활?

- 나스닥, 다우존스 양 시장 보합. 호텔/리조트, 팀버, 모기지, 헬스케어 리츠 등 최근 경기 부양에 따라 급상승했던 일부 리츠 섹터 제외하고 대부분의 리츠 섹터 상승하며 All Equity 리츠, All 리츠 모두 소폭 상승하였음 - 특히 지역몰(쇼핑몰) 리츠 강세였는데, 이는 사이먼프로퍼티(SPG)의 실적 발표에 따른 영향임. 사이먼프로퍼티(SPG)는 어제 3.7% 가량으로 강하게 상승 마무리하였음 사이먼 프로퍼티(SPG)의 2020년 4분기 실적과 2021년 가이드 라인 - 2020년 2분기 ~ 2020년 4분기 간 임대료 회수율 90% (전체 Contractual 임대료의 74% 가량) - 2020년 NOI 2019년 대비 17.1% 하락 - 2020년 4분기 NOI 2019년 4분기 대비 17..

듀크 리얼티(DRE), 킴코 리얼티(KIM) 리츠는 태양광 패널 설치 중

전세계적으로 ESG(Envirnmental, Social, Governance 환경 사회 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다. 몇년 전만해도 ESG라는 말은 그냥 허상이라고 생각했는데, 관련 업계에서 종사하면서 알게 된 것은 실제로 많은 곳에서 ESG 기준을 측정하기 시작했으며, 또한 많은 해외운용사들이 ESG와 관련된 Green Fund 등을 런칭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ESG열풍은 리츠 세계에도 불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태양광 패널 설치이다. 리츠의 ESG열풍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ESG를 추구하는 리츠가 장기적으로 높은 주가 퍼포먼스를 가져갈 확률이 높다. 특히나 우리가 미국 리츠에 투자하는 이유는 단기적인 주가 차익이 아닌 장기적인 주가 퍼포먼스와 배당이익을 얻기 위해서라는 점을 상기해봤을 ..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8) - 파워리츠(PW)는 대마초 관련 리츠?

- 다우존스, 나스닥 양시장 상승과 더불어 All 리츠, Equity 리츠 등 모두 상승세였다. 특히 경기부양 및 코로나19 영향 완화 등에 대한 영향으로 쇼핑몰 리츠, 모기지 리츠, 팀버 리츠, 호텔 리츠 등 모두 높은 수준으로 상승 - 반면에 코로나19 상황에서 꾸준히 선방해왔던 레지덴셜, 인프라 리츠 등의 약간의 조정 - 아메리칸타워(AMT), 크라운캐슬(CCI), SBA커뮤니케이션(SBAC) 등 인프라 리츠 대부분 타 리츠섹터 상승세에 의해, 자금 어느정도 이탈하였음. 하지만 인프라 리츠는 5G 등 셀타워 수요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조정 시마다 차곡차곡 매수할 필요 있음 - 어제자로 급상승했던 파워 리츠(PW)는 기존 사업 수송, 에너지 등의 인프라 리츠였지만 최근 사업 방향 변화..

미국 리테일 리츠: 지역몰, 쇼핑센터, 프리스탠딩 리테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리테일 리츠하면 떠오르는 건 쇼핑몰이다. 하지만 사실 리테일 리츠는 크게 세가지 종류로 분류되어 있다. 바로 (1)지역몰, (2)쇼핑센터, (3)프리스탠딩 리테일이다. 아래 최근 미국 리츠 시장 동향에서 참고한 자료를 확인해보자 미국 리츠 시장 현황(2021.02.05) - 실적과 경기부양감에 대한 기대와 함께 랠리 계속 - All 리츠는 약 0.42% 상승, All Equity 리츠는 약 0.37% 상승으로 미국 리츠 시장의 랠리는 계속되었다. 이는 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최근 실적 시즌에 의햔 영향이다. - 상승랠래의 가장 dbs0415.tistory.com 내가 리츠 관련 자료를 기록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것은 NAREIT의 자료인데, NAREIT에서는 리테일 리츠를 위와 같이 지역몰, 쇼..

미국 오피스 리츠 : 알렉산드리아(ARE)와 코로나19

알렉산드리아(ARE) Factsheet - 생명과학 바이오클러스터, 벤처 등을 주로 타겟으로 하는 오피스 리츠 - 오피스 리츠 시총 1위로, 시가배당률은 2.54% 수준 - 아직 생명과학 클러스터 분야는 많은 리츠들이 생소한 분야로, First Mover 어드밴티지를 누리는 대형 리츠 - P/FFO (LTM)은 약 17x 수준으로 오피스 리츠 중에서는 아주 약간 높은 수준 - 주가 범위는 2021년 주당 FFO 9~11 수준 시 $215 수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올해도 작년 수준의 임대료 성장 수준이 가능할 지 검토가 필요 - 분기 배당 알렉산드리아(ARE) 사업모델 현재 알렉산드리아(ARE) 주가는 약 $172 수준이고, 시가배당률은 2.54% 수준으로 상위 시총 10위권 내의 다른 오피스 리츠보..

지난주 간 모기지 Forbearance 종결 45,000건. 3월 전까지 얼마나 종결될까?

본 블로그의 이전 글에서 올해 3월말 모기지 유예프로그램인 Forbearance와 관련해서 큰 변동성과 리스크가 찾아올 수 도 있다고 하였다. 미국 모기지 Forbearance Plan(모기지 유예 프로그램)과 곧 다가올 2021년 3월의 위기 작년 코로나19사태로 인해 많은 Homeowner들이 이자를 지불하지 못하게 되면서, 미국은 CARES ACT를 통해서 Mortage forbearance(모기지 유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바이든 정부는 이 Forbearacne 프로그램 dbs0415.tistory.com 본 글은 아래 링크에 소개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seekingalpha.com/news/3658984-number-of-mortgages-in-forbearance-falls-by..

미국 모기지 리츠 : AGNC인베스트먼트(AGNC)는 월배당 모기지 리츠

AGNC 인베스트먼트는 월배당 모기지 AGNC 인베스트먼트는 시총 약 $8bn의 미국 최대 모기지 리츠(mREITs) 중 하나이다. 현재 주가 수준은 $16 수준. 배당수익률은 약 9% 수준이다. 차트를 보면 코로나19 직전 약 18~19 달러 선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직전 고점 수준까지 약 10% ~20% 정도 여력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AGNC 인베스트먼트는 모기지 리츠 중의 모기지 리츠이다. 무슨 말이냐하면,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을 MBS(주택담보대출증권)에 투자하는 리츠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MBS를 바로 레버리지(Leverage)를 활용해서 투자하는 진퉁뱅이 클래식 모기지 리츠이다. 모기지 리츠의 상품과 레버리지 활용 등을 알고 싶으면 아래 본 블로그에서 이전에 작성..

728x90
반응형